티스토리 뷰
목차
과학의 본성 사례 5가지 쉽게 이해하기
- “과학은 진리일까?”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과학의 본성에 있습니다. 과학 지식의 잠정성, 사회적 합의, 주관성, 기술·사회와의 관계, 상상력과 우연성 등 실제 사례로 설명해드립니다.
과학의 본성, 학교 시험용 개념이 아니에요
과학 하면 흔히 떠오르는 건
“객관적, 정확함, 실험으로 증명된다” 같은 이미지죠.
하지만 과학은 수학처럼 딱 떨어지는 절대 진리가 아닙니다.
과학은 사람의 생각과 관찰, 상상력, 그리고 사회적 상황이
서로 얽히고 영향을 주며 발전해온 지식 체계예요.
오늘은 과학의 본성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
5가지 키워드에 맞춘 대표 사례들을 소개할게요.
※ 천동설-지동설은 제외하고 설명합니다.
1. 과학 지식은 잠정적 특성을 가진다
“과학 지식은 변할 수 있다”
🔬 사례: 뉴턴 역학 →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
- 뉴턴의 고전역학은 수백 년 동안 완벽한 법칙처럼 여겨졌지만
- 빛의 속도, 중력에 의한 시간 왜곡 같은 ‘극단적 상황’에서 설명 불가능
- 이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뉴턴 역학은 특수한 조건에서만 성립하는 이론으로 자리 잡게 됨
📌 과학은 절대 진리가 아니라 계속해서 검증·보완되는 지식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.
2. 과학 지식은 사회적 합의로 구성된다
“과학은 혼자가 아니라 함께 만든다”
🔬 사례: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합의
- 기후 변화는 한때 의견이 분분했던 주제
- 수십 년간의 관측, 모델링, 전 지구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
- 현재는 전 세계 기후 과학자 97% 이상이 “인간 활동이 원인”이라는 데 동의
📌 과학 지식은 한 사람의 발견이 아닌, 다양한 과학자들의 반복 검증과 논의를 통해 구성됩니다.
3. 관찰은 이론 의존적(주관적)이다
“사람마다 다르게 볼 수 있다”
🔬 사례: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해석
- 파스퇴르는 미생물이 공기 중에 있다고 주장
-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으로 미생물 생성 부정
- 하지만 같은 실험을 본 당시 학자들 중 일부는 공기의 성질 변화 때문이라 해석
📌 동일한 실험도 관찰자의 이론적 배경이나 선입견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과학의 주관성을 보여줍니다.
4. 과학과 기술, 사회는 서로 영향을 미친다
“과학은 사회 안에서 자란다”
🔬 사례: 코로나19 백신 개발
-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멈췄을 때
- 과학자들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mRNA 백신을 빠르게 개발
- 동시에 기술(유전자 정보 해독 기술, 나노기술) 발전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음
📌 사회적 문제(팬데믹) → 과학 연구 활성화 → 기술 발전
이렇게 과학, 기술, 사회는 항상 맞물려 돌아갑니다.
5. 과학은 논리와 상상력의 조화다
“때론 우연, 상상력도 과학이다”
🔬 사례: 페니실린의 발견 (우연과 상상력의 만남)
- 1928년, 알렉산더 플레밍이 실험 도중 곰팡이가 박테리아를 죽이는 현상을 우연히 관찰
- 대부분의 연구자는 그냥 버릴 법한 곰팡이를
- 플레밍은 “이 곰팡이에서 뭔가 있지 않을까?”라는 상상력으로 관찰
- 결국 세계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으로 이어짐
📌 과학은 반드시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게 아니라
상상력 + 논리 + 우연이 만들어낸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.
마무리 요약
잠정성 (변할 수 있음) | 뉴턴역학 → 상대성 이론 |
사회적 합의 | 기후 변화 과학자들의 공동 입장 |
관찰의 이론 의존성 (주관성) | 파스퇴르 실험의 다양한 해석 |
과학-기술-사회 상호작용 | 코로나19 백신 개발 |
논리와 상상력, 우연성 | 페니실린 발견 |
마무리하며
과학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살아있는 지식이에요.
절대적이지 않고, 완성된 것도 아니며, 언제든 바뀔 수 있고
사람의 생각, 사회 상황, 우연한 사건까지 모두 작용합니다.
과학 공부할 때 단순 암기보다
**“왜 이런 생각이 나왔을까?”**를 고민해보면,
진짜 과학의 재미를 느낄 수 있어요!
출처:
- NASA Science Communication
- National Geographic
- [WHO, IPCC 공식 보고서]